리눅스 6

☕ 리눅스 top 명령어 — 시스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시스템 자원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중 가장 자주 쓰이는 게 있다면, 바로 top 명령어 일겁니다.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실행 중인 프로세스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top 명령어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옵션들이 있는지, 그리고 실무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같이 정리해볼게요.🍀 top 명령어란?to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시스템 자원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top터미널에 위처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top - 15:01:32 up 3:22, 3 users, load average: 0.58, 0.49, 0.43Tasks: 216 total, 1 ..

[Linux] APM 설치하기 - 1.APM 구조원리

APM이란?웹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Apache + PHP + Mysql 세가지를 하나로 묶어서 흔히들 APM이라고 부른다.보통 이 세개 의 프로그램 구성이 호환이 좋기 때문에 이렇게 구성해서 웹서버를 운영한다.Apache 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클라이언트(사용자)가 웹서버에 HTML 파일을 요청하면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해 당 파일을 제공해서 웹 사이트 화면을 제공해준다. PHP 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이다.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와는 해석과 실행이 어디서 이루어지는가로 구 분되지만 이 부분은 다음에 다뤄보겠다. Mysql은 데이터베이스(DB) 서버 이다.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주는 사진, 영상 등 파일들은 모두 이 DB에 저장된다.물론 DB 없이도 웹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Linux] 리눅스 캐시 메모리 정리하기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간혹 캐시 메모리 사용량이 매우 높은 경우를 볼 수 있다.이럴 때는 캐시 메모리를 정리해서 강제로 free 메모리로 반환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사실 캐시 메모리는 OS 의 판단하에 메모리가 필요한 경우 끌어다 쓸 수 있기 때문에 free 메모리 양으로 봐도 무방하다.하지만 서버 운영자의 입장에서 free 메모리량이 부족하면 불안한게 사실이다.이럴때를 대비해서 캐시 메모리를 강제로 free 메모리로 반환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현재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해보자.top 또는 free 명령어를 이용해 확인하면 된다.free -h현재 메모리 점유율이 그리 높지 않은 상태이다. 전체 메모리 중 캐시 메모리는 219M 로 확인된다. 캐시 메모리를 정리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Linux]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의 차이점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의 차이점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우선 두 가지 모두 파일을 링크해서 사용하는 것은 동일하다.차이점을 쉽게 이해하려면 유닉스 계열 시스템의 아이노드(Inode)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아이노드(Inode)란 유닉스 계열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파일의 정보가 담기는 곳이며, 모든 파일은 각자의 inode 를 가지고 있다.파일의 내용을 적어놓는 것이 아니라 파일의 내용이 담긴 주소를 가지고 있다. 하드 링크(Hard Link)의 경우는 원본 파일과 완전히 동일한 inode 를 가진다.원본이 삭제되더라도 원본과 동일한 inode 를 갖고 있기에 링크 파일의 사용이 가능하다.또한, 링크 파일을 수정하여 원본 파일을 수정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여러 경로에 하드 링크로 파..

[Linux] 심볼릭 링크 만들기

심볼릭 링크란?리눅스에서 원본 파일에 링크를 걸어서 원본 파일인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눌러 실행시키지만 실제 실행되는건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로 안에 있는 파일을 실행한다.역시나 설명서가 길면 읽고싶지 않아지는 법.간단하게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ln [옵션] [원본 파일명] [새로 만든 파일명]테스트용으로 만들어놓은 더미 파일을 이용해 심볼릭 링크를 걸어본다.해당 파일의 링크를 /home/test/link/ 경로에 만든다.ln -s 옵션은 소프트 링크를 만드는 옵션이다.소프트 링크와 하드 링크의 차이는 다음에 확인해보도록 한다. 링크로 만든 파일은 파일을 확인했을 때 앞에 ..

[Linux] 큰 용량의 더미 파일 만들기

간혹 테스트를 위해 용량이 어느정도 되는 더미 파일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파일을 텍스트로 만들기는 너무 번거로우니 바로 만들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다.그래서 찾게 된 fallocate 명령어가 있다.fallocate 의 사용법이다.fallocate -l 2G test_dummy위 명령어로 2GB 용량의 더미 파일을 만들어준다.용량을 확인한 모습이다.KB MB GB 등 원하는 만큼 숫자와 혼합하여 용량을 맞춰 생성할 수 있다.이제 테스트를 진행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