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건문은 프로그램이 상황에 따라 다른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핵심 도구예요. 사용자 입력, 메뉴 선택, 점수에 따른 등급 분류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죠. 오늘은 if, else, switch 조건문을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 조건문 기본 구조 알아보기
✔️ if / else if / else 구조
if (조건식) {
// 조건이 true일 때 실행
} else if (다른조건) {
// 위 조건이 false고, 이 조건이 true일 때 실행
} else {
// 모든 조건이 false일 때 실행
}
조건식은 무조건 true나 false가 나오는 형태여야 해요!
예: if (x) ❌ → if (x > 0) ✔️
🧪 실습 1: 나이로 성인 / 미성년자 판별하기
public class If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17;
if (age >= 18) {
System.out.println("성인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미성년자입니다.");
}
}
}
▶️ 실행 결과:
미성년자입니다.
✅ switch문 구조
switch는 특정 정수, 문자, 문자열 값에 따라 여러 갈래로 분기할 때 깔끔하게 쓸 수 있어요.
switch (변수) {
case 값1:
실행문;
break;
case 값2:
실행문;
break;
default:
실행문;
}
📌 주의!
break를 안 쓰면 아래 case까지 계속 실행돼요. 이걸 fall-through 현상이라고 해요.
🧪 실습 2: 메뉴 선택 프로그램
public class Switc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menu = 2;
switch (menu) {
case 1:
System.out.println("1번: 커피 선택");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2번: 차 선택");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3번: 주스 선택");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잘못된 선택입니다.");
}
}
}
▶️ 실행 결과:
2번: 차 선택
⚠️ 조건문 쓸 때 주의할 점
if 조건은 true/false 결과 필수 | if (x) ❌ → if (x > 0) ✔️ |
switch 변수는 숫자, 문자, 문자열만 가능 | boolean은 ❌ |
break 빠뜨리면 다음 case까지 실행됨 | → fall-through 발생 |
⏭️ 다음 예고: 반복문 (for, while, do-while)
다음 포스팅은
- 반복해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
- for문을 활용한 구구단, 별 찍기, 합계 구하기 등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예제를 만들어볼 거예요!
반응형
'IT·리눅스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기초] 배열(Array) 선언부터 평균 구하기까지 정리 (1) | 2025.04.22 |
---|---|
JAVA 반복문 (for, while, do-while) (1) | 2025.04.21 |
자바 연산자 정리 – 변수 계산부터 조건 비교까지 깔끔하게! (1) | 2025.04.17 |
자바(Java) 기초 – 변수와 자료형 이해하기 (1) | 2025.04.16 |
Java 기초 완전 정복: 첫 프로그램 만들기 (1) | 2025.04.15 |